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이미지호스팅
- 카페24쇼핑몰
- 이미지맵좌표
- Adobe
- 스토리채널
- 해외직구
- 카카오톡
- 티스토리
- 티스토리광고
- 티스토리에광고넣기
- 인피드광고
- 사전투표
- mac
- 열린민주당
- 무료이미지호스팅
- 카페24
- 명의도용막기
- 사전투표소찾기
- 무료템플릿
- 카페24홈페이지
- 더불어시민당
- 애드센스
- 문재인대통령
- 맥
- 사전투표소
- 이미지맵
- 사전투표소검색
- 애드센스수익
- 카카오스토리
- 애드센스광고
- Today
- Total
Design workroom
워드프레스로 블로그, 홈페이지 만들기 본문
워드프레스에 관심을 갖는 이유
온라인 수익화에 관심을 가지다가 워드프레스를 알게 되었어요.
애드센스, 빅링크 등 수익이 날 수 있는
링크를 넣을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을 만드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.
워드프레스는 홈페이지 솔루션으로 알고 있었는데 블로그도 가능하네요.
무료 홈페이지 솔루션에 관심이 많고
카페24에서 작업하고 있는 것처럼 커스터마이징에 관심이 있는데요~
무료로 어느정도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할 거 같아서... ^^
한번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.
Blog Tool, Publishing Platform, and CMS - WordPress
Open source software which you can use to easily create a beautiful website, blog, or app.
ko.wordpress.org
워드프레스의 장단점
워드프레스 블로그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처럼
플러그인으로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하지만 플러그인을 쓰는 만큼 커스터마이징이 불가능하고,
다양한 플러그인을 사용하려면 유료서비스를 사용해야 되는 단점도 있어요.
게다가 완벽한 커스터마이징은 유료로도 거의 불가능하다네요~~
크게 노출이 가능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다면,
무료 워드프레스 블로그로도 수익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했어요~
하지만 그 기대는 꺽이고 마는데요... 그건 아래에 설명했어요~
그리고 커스터마이징도 너무 세밀하게 원하는 고객이 아니라면 적당히 만족이 가능할 듯 해요~
워낙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하다 보니~~
워드프레스 홈페이지, 블로그
종류
1. 가입형
2. 설치형
1. 가입형
제가 해볼 블로그도 가입형이에요.
구글 아이디, 비번만으로 가입이 가능하구요.
무료 호스팅, 도메인을 제공해 줍니다.
홈페이지로도 사용이 가능
무료, 유료가 있는데요~~
무료 블로그로는 애드센스 광고를 달 수가 없네요~ ㅠㅠ
훔...
저는 방문자를 많이 끌어들이는
고급 콘텐츠는 아직 만들질 못하고 있어서
유료 블로그까지는 필요가 없어요~~
그래서 ;;;
일단 워드프레스 가입형 블로그는 보류~
계속 카페24를 파보도록 할께요~
2. 설치형
카페24에 무료디자인 템플릿을 설치한 것처럼
1)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서 워드프레스 소스를 다운받아
2) 호스팅에 그 소스를 올려
워드프레스 소스로 홈페이지, 블로그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방법.
최신 워드프레스 소스 다운받기 : https://ko.wordpress.org/download/
php로 만들어진 솔루션!
php도 어렵게 느껴졌었는데
카페24를 이해하고는 좀 가깝게? 느껴졌어요~ ㅋ;;;
include는 마치 카페24의 모듈처럼 느껴졌는데요~
여튼 컴공이시거나 완벽한 무료소스인 php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
개발폭이 엄청 넓어질 수 있는 게 워드프레스인 거 같아요~
저는 아직 해보지 못했지만 ;;;
즉 저처럼 무료홈페이지 솔루션이 필요하다면
1번 가입형이 아닌
2번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좋을 거 같아요~
다음에는 설치형 워드프레스를
설치해보겠습니다~
그럴려면 호스팅이 필요한데
이것도 무료로 찾아볼려구요~~
제겐 카페24밖에 선택권이 없네요~
다른 호스팅이 있을지...
아님 계속 사용을 망설이고 있는 AWS를 써봐야될지
고민을 해봐야겠어요~~